반응형
정부의 복지 및 금융 지원 정책을 받을 수 있는 기준선, 알고 계신가요?
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.
2025년 정부가 발표한 이 기준은 장기채무 조정, 긴급복지, 주거지원, 의료급여까지
다양한 정책의 출발점이 됩니다.
특히 최근 시행된 장기연체자 채무감면 제도에서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여부는
핵심 판단 기준이 되므로 꼭 확인해야 합니다.
✅ 기준 중위소득이란?
기준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
보건복지부 장관이 매년 고시하며, 정부 지원 정책 대부분에서 수급 자격 판단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주요 활용처 |
긴급복지ㆍ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|
장기연체ㆍ장기채무 조정 대상 판단 기준 |
청년월세지원, 행복주택, 장학금 등 주거ㆍ교육 혜택 판단 |
햇살론ㆍ저소득층 대출 등 금융 우대 프로그램 자격 기준 |
📊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100% | 60% 이하 (복지수급기준) | 80% | 120% | 150% |
1인 | 2,392,013원 | 1,435,208원 | 1,913,610원 | 2,870,416원 | 3,588,020원 |
2인 | 3,946,561원 | 2,367,937원 | 3,157,249원 | 4,735,873원 | 5,919,842원 |
3인 | 5,081,712원 | 3,049,027원 | 4,065,370원 | 6,098,054원 | 7,622,568원 |
4인 | 6,123,209원 | 3,673,925원 | 4,898,567원 | 7,347,851원 | 9,184,814원 |
5인 | 7,046,492원 | 4,227,895원 | 5,637,194원 | 8,455,790원 | 10,569,738원 |
6인 | 7,905,595원 | 4,743,357원 | 6,324,476원 | 9,486,714원 | 11,858,392원 |
7인 | 8,758,902원 | 5,255,341원 | 7,007,122원 | 10,510,682원 | 13,138,353원 |
📎 출처: 보건복지부 2025년 고시자료
🔍 왜 60% 이하가 중요한가요?
소득 구간 | 의미 | 주요 정책 사례 |
60% 이하 | 복지 수급 기준 | 기초생활보장, 긴급생계비, 장기채무 탕감 등 |
80% 이하 | 차상위계층 기준 | 장학금, 문화이용권, 복지포인트 등 |
120~150% 이하 | 중산층 이하 지원 | 청년월세지원, 신혼부부 전세자금 등 |
특히 장기연체채무 탕감 및 새출발기금 지원 대상자는 중위소득 60% 이하 + 채무 규모 조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합니다.
🧮 우리 가구는 어디에 속하나요?
예시)
- 3인 가구, 월 소득 420만원
- 기준 중위소득 100%: 5,081,712원
→ 420만원 ÷ 5,081,712원 ≒ 82.6% 수준 → 해당 가구는 60% 이하 혜택 대상은 아님,
일부 제도에서 제외될 수 있음
📌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
👇👇👇 기준중위소득 간편 계산기 이용하기 👇👇👇
✅ 정리하며
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.
정부 복지와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준선이자,
장기연체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의 참여 조건이기도 합니다.
✔️ 우리 가구 소득과 비교하여 어디에 속하는지 체크하세요.
✔️ 필요한 제도와 혜택이 있다면 신청 전 반드시 기준 중위소득표 확인을 권장합니다.
반응형